[쉽게 풀어 쓴 상대성 이론] Chapter 0. 서론

1.jpg


안녕하세요. 훈하니 @hunhani입니다.

hunhani.jpg

대문을 제작해주신 @leesol 님께 감사드립니다.


과학의 범주를 넘나드는 상대성 이론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과학뿐만 아니라 철학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근대까지만 하더라도 서양에서는 과학과 철학은 하나의 학문이었죠. 철학이 세상의 모든 진리를 탐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자연의 진리를 탐구하는 과학도 철학의 일부였던 것입니다. 아인슈타인은 "철학은 과학으로부터 결론을 얻어야 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처럼, 상대성 이론은 자연과학이나 공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은 물론 인문사회학을 하는 사람들에게도 절실히 필요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상대성 이론을 쉽게 풀어 쓰려면?

대중에게 과학 및 물리학 내용을 설명하는 글을 쓸 때 늘 하는 고민입니다. 특히 상대성 이론에 대한 주제는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상대성 이론을 쉽게 풀어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상대성 이론을 쉽게 전해드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해봤습니다. 초등학생에게 상대성 이론을 쉽게 설명해달라는 요청을 받는다면 어떻게 답할지를 생각해봤습니다. 상대성 이론을 완벽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라면 모를까 상대성 이론을 대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라면 분명히 복잡한 수식을 도입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대신 상대성 이론이 무엇인지 상대성 원리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배경설명 등이 충분히 필요할 것입니다.

보다 자세하게 그러나 더 쉽게

과학의 범주를 넘어 누구나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상대성 이론에 대해 [쉽게 풀어 쓴 상대성 이론] 시리즈에서 차근차근 알아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에 포스팅 했었던 물리학도가 들려주는 인터스텔라를 더 재밌게 보기 위한 18가지 이야기암호화폐가 100% 망한다고 양자 컴퓨터와 블록체인 보안 이야기에서 상대성 이론에 대해 아주 가볍게 언급했었죠? 이번 시리즈를 통해 보다 자세하게 그러나 더 쉽게 전달해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jpeg

다음 편을 기대해주세요!



지난 이야기


  • 본문에서 사용된 모든 이미지는 구글 이미지에서 가져왔음을 밝힙니다.
  • 본문을 작성하는데 있어 위키피디아 내용을 참조하였습니다.

U5du7nLXDvWo8knCQ9fMLM8G7ypZgGq_1680x8400.png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2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