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2 미만 댓글 보팅을 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소스코드 분석으로 해답을 찾다

HF20기념 7일 지난글 업데이트^^: 이때 생각했던 댓글 살리기 아이디어가 @gomdory 곰돌이로 만들어졌습니다. 소중한 댓글을 살려주는 우리 gomdory 곰돌이를 소개합니다.


$0.02 미만 댓글 보팅을 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소스코드 분석으로 해답을 찾다

긴 글을 읽고 싶지 않은 분들께 요약(댓글보고 좀 혼동하시는 것 같아 부연 설명 넣었더니 요약이 더 이상 요약이 아니게 되었네요ㅠㅠ 제가 글을 참 짧게 못 쓰는 듯ㅠㅠ)부터 해드리자면^^

  • 찍힌 최종합계 금액 기준 $0.02 미만의 보상은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다시 강조하지만 최종합계 기준입니다. (합쳐져서 결국 0.02이상이 되면 그 미만의 보팅도 의미가 있습니다! 혹시라도 혼동하시지 마시길. 즉 메인 포스팅은 작은 보팅도 결국 0.02이상이 될 확률이 높으니 보팅 열심히 하세요^^ 특히 @virus707님의 #jjangjjangman 태그만 달아도 현재기준 $0.25 (0.025 오타를 과거에 발견을 못했는데 HF20으로 7일 지난 글도 수정이 가능해져서 당시 짱짱맨 보팅금액을 0.25로 바로잡습니다. 2018.9.30) 가까이 찍혀서 짱짱맨쓰는 한글 메인포스팅은 전혀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짱짱맨님 감사합니다^^)
  • 보팅 파워 역시 사라진다. (즉 실질적 보상이 없었다고 추가로 회복시켜주진 않는다)
  • 물론 합계 금액 기준이기에 메인 포스팅에 대한 작은 보팅은 여전히 유효하다. (최종 합계가 $0.02이상이 된다는 가정하에)
  • 하지만 댓글의 경우 (이게 포인트) 보팅이 드문 편이므로 $0.02미만의 보팅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스파가 없을수록 더 아껴서 메인 포스팅 보팅에 사용^^)

물론 작은 댓글 보팅도 의미가 있을 수 있는 경우도 있긴 하죠.

  • 다른 사람이 추후에 댓글에 보팅해서 합계 0.02를 넘을 거라 생각할때 (실제 댓글놀이가 많은 친목 글에는 충분히 가능한 일이죠^^)
  • 그냥 댓글 위로 올려주고 싶을때 (워낙 댓글을 보팅을 잘 안하니 작은 금액만 보팅해도 위로 올라감)

그럼 댓글에 정말 보팅을 해주고 싶어서 했는데 보팅파워가 떨어져서 하필 $0.02가 안찍혔다. unvote해야 할까요?

그냥 두시는게 낫습니다. unvote해도 보팅파워는 돌아오지 않습니다. 누군가 추가 보팅을 해주길 기대하거나(아래 저의 0.01보팅이 @armdown님에게 구출된 사례를 찾아보세요ㅎㅎ) 아니면 그냥 해당 댓글이 위로 올라간 것에 만족해야겠죠^^

끝으로. 뉴비 오브 뉴비는 그냥 마음 편하게~

글 쓰고 나니 너무 또 이것저것 따져가며 보팅하실까 걱정이 되더군요. 사실 저같은 뉴비나 0.01도 안 찍히는 뉴비분들은 굳이 너무 신경쓰시면서 보팅하시진 마세요^^ 오히려 스팀잇이 재미 없어질 거랍니다. 탕진잼으로^^ 뭐 가끔 댓글에도 무의미한 보팅도 할 수 있는거죠. 단지 아예 모르고 그게 보팅 받는 분에게도 도움될 거라 착각하시지만 말라는 겁니다. 실컷 좋은 일 하려 했는데 그게 그냥 공중에 사라지면 아깝잖아요? 그러니 그럴바엔 아껴뒀다 메인포스팅에 보팅하시라는 겁니다.

아래는 자세한 분석입니다. 굳이 안 읽으셔도 되는ㅠㅠ 노력의 흔적들ㅠㅠ 프로그래밍 모르시는 분은 읽어도 무슨 소린지 모르실 수 있으니 패스해 주세요^^


몇주전에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최소 보상금액에 대해서 질문한 적이 있습니다.

그때 @eunheeha님이 @heterodox/4hrjzc-10 게시물을 들어 0.02라고 알려주셨지만 오래전 글이고 출처(소스코드나 최신 스팀잇 공식 포스팅 수준)가 없더군요. 다른 글도 몇개 찾았는데 역시나 출처는 없더라고요. 물론 출처가 없으면 반드시 믿을 수 없다는 말이 아닙니다.

하지만 얼마전 제가 busy보팅 주기가 20시간이라는 것을 소스코드 분석을 통해 알려드렸듯이 해당 주기 역시 불과 한달 남짓한 사이 12->24->20시간으로 변화해온 것이라 출처가 명확한 최신정보가 아니면 사실 블록체인 세계에서는 해당정보가 지금도 맞다고 확신하기가 힘든게 사실입니다. 확신하셔도 안되고요.


https://steemitimages.com/0x0/https://ipfs.busy.org/ipfs/QmQx3X8F4QJt7w9veFj7GKLfr7tHZiSA9HH4tskghro7Xb
Bitmoji 이용해서 만든 아바타인데 이거 저작권 문제가 어떻게 되는지 아시는 분?

busy분석했을 때처럼 소스코드를 찾아보려 했는데 아주 쉽게 찾아지진 않더군요. 사실 결국 찾고 나니 쉽게 찾을 수 있었는데^^

그당시 사실 바로 무식하게 0.02로 검색했더니 아래와 같이 코드가 나오더군요ㅎㅎ
testcode.png
실제 0.02 미만은 payout이 안되는지 테스트해보는 코드인데 테스트 코드인데다가 실제 코드에 가보면 해당 테스트 자체가 아예 주석처리가 되어있어서 이거 최신정보가 아닐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곤 그놈의 0.02를 더 찾아보려했지만 안나오더군요. 그리곤 바빠서 잊고 지냈습니다.

그러다 조만간 만드려고 하는 스팀잇 기초 동영상에 해당 내용을 포함시키고 싶다는 생각(busy 20시간을 철저히 밝혀낸 것도 같은 이유입니다. 이런 정보는 최소 현 시점에서는 정확해야하니까요)에 오늘 다시 찾아보니 의외로 쉽게 찾아지더군요. 일단 0.02로 못찾은건 20 * 0.001 (물론 0.001이 숫자로 적혀있지는 않습니다)과 같은 형식으로 되어있고 20은 사실 너무 많이 검색이 되죠. 다른 방식으로 좀 살펴보다 결국 찾게 되었습니다.

나의 정성스런 0.01 보팅이 무시당했어ㅠㅠ

우선 reward.cpp에서 is_comment_payout_dust가 참이면 payout을 무시무시하게 0으로 만들어버립니다.
dust.png

is_comment_payout_dust 함수는 다음과 같이 reward.hpp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is_comment_payout_dust.png

바로 이 STEEM_MIN_PAYOUT_SBD이 아래와 같이 0.02 SBD 즉 우리가 눈에 보이는 "찍힌 금액" 0.02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def_min_payout.png

제가 소스코드 분석을 선호하는 이유는 이런 정보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한번 위치를 찾아두면 앞으로 변화가 생겨도 확인하기가 쉽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개발자 근성이 남아 있어서 그런 것도 있고ㅎㅎ)

왜 $0.02냐?

전 처음에 0.02가 아닐거라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스팀/스달의 최소 단위가 0.001이라서 반올림을 하던 최소 버림을 하던 누군가는 받는 금액이 최소 0.001만 되면 payout이 될거라 생각했던 거죠. 예를 들어 보팅이 하나만 있다면 저자:큐레이터=3:1의 의해 가장 적은 reward 25%의 금액이 0.001이 되기에는 합계 0.02는 너무 크거든요. 스팀잇 UI가 소수점 두째자리까지만 보여지니 뭐 그걸 기준으로 0.01로 한다고 쳐도 역시 25%하면 받는 금액 최소 0.001의 4배인 0.004 보다 2.5배 큽니다. (물론 curation reward는 SP로 주어지기에 0.001보다는 좀 더 크긴 해야하지만)

왜 0.004, 0.01도 아닌 0.02인가

제 나름대로의 추측은 받는 금액 기준 0.001을 최소 payout 기준으로 하면

  • 너무 작은 금액들이 수도 없이 블록체인에 기록 되어야 하는 부하를 가져오고
  • 이런 작은 금액 어뷰징이 가능하다 (작은 금액은 보통 신경을 덜 쓰니까. 하지만 티끌 모아 태산)

정도일 것 같습니다.

미리 말씀드린 요약에 적어뒀듯이 메인포스팅에는 결국 0.02를 넘을 확률이 높으니 아무리 작은 보팅도 결국 도움이 되지만 댓글에 0.02미만의 보팅은 (다른 사람이 추가 보팅해서 0.02를 넘게 되거나 댓글을 그냥 위로 올리고 싶은 용도가 아니라면) 아무도 보상을 가져가지 못하고 보팅 파워만 소모된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ps. 저도 과거에 0.01도 안찍힐때는 그냥 댓글에 먼지만한 감사라도 드리고 싶었고 또 제가 어디까지 읽었나 확인도 할겸ㅎㅎ 보팅을 무조건 했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러다 보팅 파워가 너무 낮아지니 아무리 작다한들 메인 포스팅에 주로 쓰자 했지만 그래도 좋은 댓글에는 보팅을 해드리고 싶더라고요. 그러다 스파가 좀 모이니 보팅 파워가 좀 모인 상태에선 0.01이 찍히기 시작하자 이야~~~하고 신나서 막 찍어드렸는데(뉴비의 마음 아시죠? 내가 보팅했는데 숫자가 올랐어!ㅎㅎ) 그게 다 부질없는 짓이었다는거ㅠㅠ 그래서 요새는 댓글 보팅 안합니다. 0.02를 넘는 그날까지 기다려주세요ㅎㅎ

그럼 반드시 정확하게 알고 싶었던 busy 보상주기와 최소보상금액 문제가 해결되었으니 다음주 중에 스팀잇 동영상을 만들어 올리겠습니다~


현재까지의 스팀잇 관련 글

ulockblockend.jpg

현재까지의 블록체인/비트코인 백서 해설 목록

번역자 직강 비트코인 백서 완전해설

[블록체인 스튜디오] 번역자 직강 비트코인 백서 완전해설 강의 0. 초록
[블록체인 스튜디오] 번역자 직강 비트코인 백서 완전해설 강의 1. 서론
[울룩불룩 블록체인/블록체인 스튜디오] 공개키 암호 시스템 - "비트코인 백서 - 2. 거래" 준비 자료
[블록체인 스튜디오] 번역자 직강 비트코인 백서 완전해설 강의 2. 거래 (Transaction)
[블록체인 스튜디오] 번역자 직강 비트코인 백서 완전해설 강의 3. 타임스탬프 서버 (Timestamp Server)
인사말

입문자용 울룩불룩 블록체인 해설 목록

[울룩불룩 블록체인] 블록체인이란? 10분만에 이해하는 블록체인 강의
[울룩불룩 블록체인] 비트코인 창세기편 - 비트코인 제네시스 블록
[울룩불룩 블록체인/블록체인 스튜디오] 공개키 암호 시스템 - "비트코인 백서 - 2. 거래" 준비 자료


모든 강의는 "교육을 통한 사회공헌"이라는 개인적인 목표를 가지고 하는 것입니다. 현재 편집 등 모든 과정을 직접 해야 해서 어려움이 많습니다. 유튜브나 스팀잇 등을 통해 수익이 발생하게 되면 모두 강의 개선에 쓸 예정입니다. 또한 그림이 포함된 경우 그림작가님께 수익을 배분하겠습니다. 유튜브 구독과 스팀잇 보팅 많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블록체인 스튜디오
http://blockchainstudio.info (홈페이지)
http://blockchainstudio.tv (유튜브)
https://facebook.com/economicstudio (페이스북)

울룩불룩 블록체인
https://facebook.com/ulockblock (페이스북)


Sponsored ( Powered by dclick )
Introducing DCLICK: An Incentivized Ad platform by Proof of Click. - Steem based AdSense.

Hello, Steemians. Let us introduce you a new Steem B...

logo

This posting was written via
dclick the Ads platform based on Steem Blockchain.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6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