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측] Bithumb Steem 빗썸 스팀 해킹 안된 듯 + 급등락과 프리미엄에는 주의

아마 @yoon님의 "빗썸의 공지를 읽고 궁금한 점"이란 재밌는 분석글 많은 분들이 보셨을 것 같은데요. 참고로 위 글을 요약하자면

  • 빗썸 해킹 사고 났을 당시 빗썸 스팀 계정인 @bithumb-hot의 사실상 전체물량인 스팀 150만개 정도가 Binance 계정으로 이동되었다. 해킹 사고 후 고객자산은 안전하게 콜드월렛에 옮겼다더니 바이낸스가 콜드월렛이냐-_-?
  • 잔고가 없지만 거래가 되고 있다? 장부거래?
  • 150만개가 해킹된게 아니라 빗썸 소유의 바이낸스 계정이길 바란다.

당시(사실 지금도) 제가 바빠서 제 나름의 분석이나 생각은 못해보고ㅠㅠ 제가 이런 분석글을 좋아하다보니 참 잘 쓰셨다 생각하고 지나갔는데, 오늘 좀전의 제 글인 "[잡담] steem-top-newbie 랭킹순위권 기념ㅎㅎ 네드 파워다운 업데이트: 거래소행 1만5천개 남음"를 쓰고 나니 문득 그 글이 다시 떠오르더라고요. 그래서 다시 원작자분을 알게 되어 다시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쉽게 찾았던게 제 글에 보팅을 해주셔서 알람이 떠서^^ (저도 요샌 busy를 씁니다ㅎㅎ)

그리곤 궁금해서 문제의 뜨거운 빗썸 계정인 @bithumb-hot을 살펴보았습니다.

Screen Shot 2018-07-03 at 1.23.45 AM.png

어제와 오늘 3시간 정도 전에 업데이트가 있었네요. 참고로 @deepcrypto8계정은 우리 네드도 애용하는 바이낸스 계정입니다. 150만 스팀 전송된 바이낸스 계정(메모)이 "101531101"인데 이 계정으로 10 스팀을 어제 오늘 두번 받았네요.

  • 어제 업빗에서 10스팀을 받아 바이낸스로 다시 보내고
  • 오늘 바이낸스에서 (바이낸스에서 송금받는 경우 @binance-hot계정임) 바이낸스로 10스팀

설마 "101531101"이 해커가 사용하는 계정이라면 동일 계정으로 간도 크게 (아니 일단 막혔겠죠) 어제 오늘 약올리는 것도 아니고 10 스팀씩 전송 테스트(?)를 해보진 않겠죠. 빗썸 측에서 테스트해보는 것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빗썸에서 바이낸스로 이동한 150만 스팀이 해킹된 것은 아닌 것 같다

라는 게 제 추측입니다. 강조드리지만 추측입니다. 물론 빗썸이 밝힌 해킹된 내역에 스팀이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빗썸측 주장에 따르면 추측이 아닌 사실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바로 그 애매한 빗썸->바이낸스 전송내역 때문에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것 같아 나름 근거를 가지고 추측을 해본 글입니다.

차라리(?) 해킹이 되었더라면 빗썸의 재매수로 인한 급등 가능성?

이게 혹시 해킹된 거면 빗썸이 결국 150만개를 되사야할테니 급등가능성이 있다라는 댓글같은 것도 본 기억이 나는데 일단 해킹된 게 아닌 듯하니 그럴 일은 없을 것고 그런 일이 생겨도 해커도 결국 팔고 싶을테니 아주 급등하긴 쉽지 않을 거라고 전 생각했었습니다. 왜냐 걍 빗썸이 해킹 문제로 입출금을 당분간 제한한다 땅땅땅 하면 고객이 출금해도 내줄 필요가 없으니-_- 해킹이 됐어도 서서히 사들이겠죠ㅎㅎ

장부거래

@yoon님도 지적하셨지만 어쨌든 빗썸은 지금 150만개가 빗썸 계정에 없는데 거래가 일어나니 장부거래 아니냐? 전 이부분, 즉 장부거래의 법적 정의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 아직 명문화된 규정이 없을거란 생각이 드네요. 예를 들어 콜드월렛에 보관한채로 거래를 하면 장부거래인가 이건 아닐듯한데. 그게 그 거래소의 콜드월렛임은 어떻게 증명하나? 하면 사실 할말이 또 없는 것이거든요. 이게 뭐 은행계좌처럼 법인계좌가 있는 것도 아니고ㅋㅋ 법인용 공인인증서가 있지도 않고ㅋㅋ

빗썸 스팀 펌핑

물론 우연의 일치인지는 몰라도 저도 바쁜 와중에 소식은 전해 들었는데 빗썸에서 말도 안되는 알트 펌핑이 일어났다고. 개중에 스팀이 꽤나 그 폭이 컸던 것으로 들었는데 글 쓰는 지금 시점에서도 빗썸내의 스팀 프리미엄이 상당하군요. 물론 빗썸으로 입금이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입금이 되면 요즘 시대에 이 정도 프리미엄이 아무리 거래량이 적은 스팀이라지만 30분이상 유지가 될 수가 없죠.

빗썸의 스팀 프리미엄 주의

빗썸 스팀이 해킹된 것은 아닌 것 같지만 이런 가격차이는 투자에 유의하셔야할 것 같습니다. 아무튼 빗썸의 스팀 펌핑은 그냥 어쩌면 저런 '해킹에 의한 급등가능성 역발상'을 이용한 펌핑전략이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들고 그냥 단순히 스팀은 워낙 거래량이 적으니 그다지 큰 돈을 안들이고도 시세를 쥐략펴략할 수 있으니 자주 뜬금 펌핑의 타겟이 되는 것도 같습니다.

예를 들어 반대 상황으로 빗썸이 스팀의 가격이 업빗, 고팍스에 비해서 제법 쌌던 때가 있었는데 정작 출금이 가능해진 시점에서는 가격차가 사실상 없어진 상황이 됐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재정거래를 하는 사람도 많고 재정봇도 많이 돌기 때문에 너무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상황이라면 입출금이 안될 확률이 매우 높으니 항상 주의하셔야 합니다.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1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