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스티미언들의 보팅패턴 총괄 분석

8.png


참고) 분석 기준


스팀의 보팅은 언제 이루어지는지 궁금해서 (제 글에 대한 보팅만으로도 체감 느끼는 바는 있었지만) 모든 스티미언의 보팅 데이터를 실제로 확인해보았습니다. 워낙 데이터가 방대하고 하드포크20이후 보팅룰이 변경된 점 등을 고려할 때 분명한 기준 설정이 필요하기에, 아래 기준을 적용하였습니다.

  • 하드포크20의 여파가 실제로 미치기 시작한 18.10.3~18.11.14일까지의 스팀의 모든 보팅 중에,

<참고글> HF20 이후 큐레이션 보상 변화 분석.

  • 글이 처음 써진 시점부터 해당 글의 페이아웃 시점인 7일 내에 이루어진 보팅이면서,

  • 댓글이 아닌 포스팅 글에 이루어진 보팅일 것.


이렇게 함으로써, 페이아웃이 끝난 글에 한 보팅과 댓글에 이루어진 보팅은 제외하고 분석했습니다.

동 기간(43일) 내에 위 기준을 충족하는 전체 보팅 수는 무려 약 2,360여만 개입니다. 일평균으로는 약 55만 개 수준입니다. 양이 많아 조회시간이 꽤 길었습니다.


1) 스팀 보팅 패턴 분석: 보팅 수 측면에서


① 포스팅 후 1시간 내 보팅 수 및 그 비중 분석

글을 올리고 나름 기대를 하는 이 시간 대에 얼마나 많은 보팅이 들어올까요?

0.png
<포스팅 후 1시간 내 구간별 보팅 비중, Source: steemsql에서 조회가공>

위 표에서 보시다시피, 포스팅 후 15분~20분 사이에 약 9.3%(보팅 수 기준)의 보팅이 들어오는 등 포스팅 후 1시간 이내에 적지 않은 보팅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누적으로 보면 아래와 같은데요.

1.png
<포스팅 후 1시간 내 구간별 누적 보팅 비중, Source: steemsql에서 조회가공>

15분 이내에도 전체 보팅수의 18.9%가 이미 투표하고 있으며, 1시간 이내 누적 투표비중은 7일 간 전체 투표수의 무려 52.3%에 달합니다.

즉, 보팅수로만 본다면 전체의 약 52.3%가 포스팅 후 1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것이지요. 아마도 극소량을 투표하고 가는 큐레이션 봇들이 많아진 점도 일부 작용하고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일단 이 글에서는 보팅수 측면에서 계속 분석해 보겠습니다.

숫자로 된 표로 구간별 보팅수, 구간별 비중 및 구간별 누적 비중을 다시 보겠습니다.

2.png
<포스팅 후 1시간 내 구간별 보팅수, 구간별 비중 및 누적 비중, Source: steemsql에서 조회가공>


② 포스팅 후 1일 이내 보팅 수 및 그 비중 분석

포스팅 후 1시간 이내의 보팅수가 7일이나 주어진 페이아웃 시점까지의 전체 보팅수의 무려 52.3%나 차지한다는 것은 다소 놀라운데요.

그럼 포스팅 첫날의 보팅비중은 어느 정도나 될까요?

3.png
<포스팅 후 24시간 내 구간별 보팅 비중, Source: steemsql에서 조회가공>

포스팅 후 1시간 내의 투표비중 대비로는 좀 감소한 모양새가 보여집니다. 실제로 1시간~24시간 내 투표비중을 살펴보면 대체로 시간대가 지나갈수록 투표수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모양을 띄는 것 같습니다.

4.png

<포스팅 후 24시간 내 구간별 누적 보팅 비중, Source: steemsql에서 조회가공>

보팅수 측면에서는 24시간 이내에 누적 83.6%가 투표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포스팅 후 1시간~24시간 사이에는 약 31.3%가 투표한 것입니다.

자세한 수치는 아래 표로 확인 가능합니다.

5.png
<포스팅 후 24시간 내 구간별 보팅수, 구간별 비중 및 누적 비중, Source: steemsql에서 조회가공>


③ 포스팅 후 페이아웃 시점까지의 보팅 수 및 그 비중 분석

글을 올리고 7일 간 보팅 패턴은 어떠할까요?

6.png
<포스팅 후 페이아웃 시점까지의 일별 보팅 비중, Source: steemsql에서 조회가공>

위 표에서 보시다시피, 포스팅이 이뤄진 첫 날에 이미 83.6%가 투표되고, 2일차에 6.7%가 이루어져 포스팅 후 첫날과 둘째날에 약 90.3%의 보팅이 완료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3일차 3.5%, 4일차 2.3%로 점차 줄면서 보팅이 이루어지고 있군요.

5일차~7일차에는 1.2~1.4%수준으로 극소량의 뮤명무실한 보팅이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이를 누적으로 보면 아래와 같은데요.

7.png
<포스팅 후 페이아웃 시점까지의 누적 보팅 비중, Source: steemsql에서 조회가공>

숫자로 된 표로 일별 보팅수, 일별 비중 및 일별 누적 비중을 다시 보겠습니다.

8.png
<포스팅 후 페이아웃 시점까지의 일별 보팅수, 일별 비중 및 일별 누적 비중, Source: steemsql에서 조회가공>


2) 결론 : 투표수 측면에서 포스팅은 하루살이, 길게봐줘도 나흘살이


요컨대 보팅수 측면에서 포스팅 후 1시간 내에 무려 약 52.3%의 보팅이 집중되고, 그 이후부터 24시간 시점까지는 약 31.3%의 보팅이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점 알 수 있었습니다.

대다수 포스팅은 결국 보팅수 측면에서만 본다면, 포스팅 첫날에 무려 83.6%의 투표를 받고 있으며, 이 기준에서 대부분의 포스팅은 거의 하루살이에 가깝다고 보여짐을 알 수 있는데요.

페이아웃 기간를 일별로 봐도, 보팅수 측면에서 포스팅 첫날에 무려 약 83.6%가 집중되고, 둘째날에 6.7%가 이뤄지면서 결국 포스팅 후 2일 동안 전체 보팅의 90.3%가 이뤄짐을 알 수 있으며,

3~4일차에는 그나마 2~3%수준의 보팅이 이뤄지고 있으나, 5~7일차에는 1%수준의 유명무실한 보팅만이 추가되고 있었습니다.

이는 포스팅 후 대부분은 첫날에(83.6%), 거의 대다수가 2일차까지에는(누적 90.3%), 그리고 길어도 4일차에는(누적 96.1%) 사실상의 모든 보팅이 마감상태에 가까워짐을 의미합니다. 즉, 보팅 수 측면에서 포스팅은 길게봐줘야 나흘살이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래서인지 과연 페이아웃까지 7일이 주어지는 것이 적절한 것인가에 대한 논란이 최근 제기되고 있기도 합니다. 보팅파워 충전기간이 5일이고, 보팅파워 임대회수 기간도 5일이라 페이아웃 기간을 5일로 하는 것이 어떤가 하는 이슈입니다.

체감하시던 것과 전체 보팅데이터가 좀 비슷한 것 같으신가요?

페이아웃 기간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

방대한 데이터인 스팀 전체의 보팅 데이터를 근거로 보팅 패턴을 분석해 보았습니다.

물론, kr만으로 한정한다면 조금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겠지요.

(데이터를 구하기 어려우나) 투표가치 기준으로 본다면, 지금처럼 투표수 기준일때보다 아무래도 조금은 투표 집중도가 완화된 모습을 보일 것 같습니다. 포스팅 직후에 극소량을 보팅하고 가는 큐레이션봇들이 꽤 많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15분내 투표수가 페이아웃 기간 전체 투표수의 약 18.9%정도임을 감안한다면, 투표가치를 기준으로 본다해도 투표수 기준 현재 데이터들과 그리 유의미한 차이를 낼 것 같지는 않습니다.


Sponsored ( Powered by dclick )

dclick-imagead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2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