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어 바로잡기] 003. 저는 프헝스에 삽니다 (프랑스가 아니고요?)

잊을 만하면 돌아오는 [프랑스어 바로잡기] 코너입니다.
사실 이 연재는 소설 연재와 함께 기약없이 미뤄졌는데 타의반 자의반으로 다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현재 프헝스에 살며 프헝스어를 공부하며 프헝스인들과 교류하며 프헝스식 예술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어? 김작 프랑스에 사는 거 아니었어?



제가 사는 나라의 국기를 잠시 볼까요?




france.jpeg




뭐여, 프랑스구먼

4.jpg



제 손모가지 날리기 전에 잠깐 보실게요.
FRANCE 이 단어의 발음기호는 이렇습니다.

/fʁɑ̃s/

왜 R을 ㅎ으로 발음하는진 [이전 글]에서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사실 이 논쟁은 영어권에서도 가끔 일어납니다. 발음을 '굴린다'는 표현 때문에 그런데요. 영어권에서 누가 최초로 그런 표현을 썼는진 모르지만 여기서 굴린다는 뜻은 영어의 R을 발음할 때처럼 혀끝을 뒤로 젖히는 동작을 말하는 게 아닙니다. 혀끝은 아랫니에 댄 채로 혀 뒤쪽과 목구멍을 들어올리는 겁니다. 우리말의 목을 긁는다는 표현에 보다 가깝습니다. 그래서 영어권에서도 잘 안 되면 그냥 '영어 H'에 가깝게 발음하면 된다고 가르칩니다. 이런 이유로 어지간한 국내 불어 학원이나 강의도 ㅎ으로 가르치는 게 현실입니다. (100% 똑같지 않으니까 5%가 다르잖아! 아예 다른 발음인 ㄹ로 하자는 주장을 저는 도저히 이해할수 없습니다)


아닌데? 내 프랑스인 친구들은 엄청 꼬부라지게 말하던데?


크게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그 친구들은 십중팔구 10대-20대 초반일 겁니다. R이 아니라 억양L'intonation때문입니다. 어느 나라나 그렇지만 10대들은 특유의 말투를 씁니다. 여기서는 우웨 우웨 거리며 너울 타듯 심하게 높낮이를 출렁거리는 말투를 씁니다. 실제로 들으면 우리가 생각하는 낭만적인 불어와는 거리가 먼 시끄러운무서운 말투입니다. 사실 불어 자체가 그닥 낭만적인 말투는 아니라는...

그게 아니면 table 처럼 끝이 -le로 끝나는 단어나 정관사 le의 /르/를 R로 착각하는 경우입니다.


됐고... 왜 앙이 아니라 엉인데? 엉?


발음 기호 /ɑ̃/은 /ɑ/와 모양이 같은데? 거기에 /ㅇ/이응 받침이 들어갔을 뿐이니까 /앙/ !

누가 우리나라 불어 교육의 시조인지는 모르지만 최초에 이렇게 생각한 양반이 있을 것 같습니다. 어쩌면 그렇게 생각한 일본/미국인의 책을 그대로 가져다 쓴 걸지도 모르겠군요. 불행히도 이것은 /엉/이라고 읽습니다. 왜 때문에? 이런 질문을 받으면 현지 교수들은 깊은 한숨을 내쉬며 그것은 강의 시간에 다 설명할 수도 없거니와 깊이 알면 자네가 다치니 이렇게만 알고 있으라고 합니다.


C'est la France ! 셀라 프헝스 이게 프랑스야!


원래 그런 거니 더 따지지 말고 닥치라는 뜻입니다. (실제로 대답할 수 없는 많은 질문에 '프헝스'인들은 저렇게 답합니다) 문제는 이런 게 한두 개가 아니란 건데요. 하지만 걱정 마세요. 하나씩 다룰 테니까요.


참고로 위의 삼색기(욕 아닙니다)의 색은 블루Bleu / 블렁Blanc / 후쥬Rouse 라고 읽습니다. 각각 상징하는 바가 있는데 이건 프랑스 혁명과 관계 있으니 다른 시간에 한 번 더 다루겠습니다.

이제 비슷한 다른 단어를 볼 텐데요. 한 번 유추해 보시기 바랍니다. 정답(한국식 명칭)은 밑에 쓸게요.


헤스토헝

노흐멍디

몽 블렁

르 멍

.
.
.
.
.
.
.
.
.
.

정답)

헤스토헝 - 레스토랑 Restaurant

노흐멍디 - 노르망디 Normandie

몽 블렁 - 몽 블랑 Mont Blanc

르 멍 - 르 망 Le Mans (르망24의 그 르망 맞습니다)

많이 맞추셨나요?
표준 발음이 어색하죠? 우리나라 불어 표기가 영어식 불어를 따라서 그렇습니다.

영어식 불어?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다음 편에 이 분을 만나보기로 하죠.




"짐이 곧 국가니라"
Now and forever, I'm your king





+)덧붙이는 말

발음이 중요하지 않다는 분들을 종종 만납니다. 우리가 원어민이 아닌 이상 그들처럼 말할 순 없겠죠. 그건 맞습니다. 그런데 그렇다고 그들이 만들고 따르는 발음 '규칙'을 무시하고 외국인인 우리가 임의로 만든 규칙을 따르는 건 전혀 다른 일입니다.

발음은 지역마다 다르니까 상관없다구요?
한국어를 배우려고 우리나라 어학당을 찾는 외국인에게 표준어가 아닌 연변 말씨를 가르쳐야겠습니까? '엉덩이'라는 글자를 '앙당이'라고 읽어도 상관없다고 하시겠습니까?

발음이 중요한 게 아닌데 발음을 왜 가르치나요? 그것도 표준 규칙에서 벗어난 발음으로? 사투리를 쓰는 지역의 모든 학교와 어학원에서도 표준 규칙에 의거해 가르치는데요.

'갬새랍니다'

이게 무슨 뜻일까요? 우리말입니다. 감이 오나요? 위의 주장을 하는 분들의 논리로 감사합니다를 바꿔서 써 봤습니다. 외국인들에게 우리말을 이렇게 가르쳐주실 건가요?

그리고 엄밀히 말하면 이건 기초적인 '읽기'법입니다.


+) 본 연재는 프랑스 한림원l'Académie française과 DELF 주최기관 CIEP의 교육 방침에 근거합니다.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5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