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후의 이야기] #관점 : 내수와 유입 그리고 발행


# 내수

많은 이들이 사용하는 재화는 그 자체로 가치가 부여됩니다. 주고 받고 간직하다 다시 팔고 등의 수요가 있는 한, 가격은 형성되기 마련이고 모두가 원하는 그것이라는 집단의 인지가 발생합니다.

돈.. 가치를 저장하고 측정하며 교환의 용도가 되는 그것은 자본주의에서는 많은이들이 집단적으로 모인 국가의 울타리 안에서 나라가 망하지 않는 한, 나라의 경제 시스템을 신뢰하는 한 돌고 도는 매개체가 됩니다.

다만, 일단 내수가 튼튼한 나라, 기본적으로 그 나라의 국민들이 타국 교역을 제외하고, 자체적으로 재화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캡티브마켓이 받쳐줄수록 외풍에 견딜 버팀목이 되며 운용의 묘를 발휘할 부분이 많아집니다.

뭐~ 안되면 우리 안에서, 만들고 소비하면 되지~! 하는, 소위 믿는 구석..

마켓.webp
pixabay

기업레벨에서도 계열집단의 고정 판매처가 있는 기업은 글로벌하게 먹힐수 있는 기술개발과 품질 개선까지 시간을 확보하고 자본을 마련하기 위해 종종, 계열사 찬스를 쓰기도 합니다.

하여, 그렇게 캡티브 마켓의 힘으로 시간과 함께 일어서는 기업도 있고, 그냥 후계 승계구도를 마련하기 위한 자본으로 누적되어 사적인 용도로 유출되기도 합니다.

하나의 화폐를 만든다는 건 사실상 정말 담대한 꿈입니다. 세상에 국가도 아닌데 돈을 찍어내고, 그걸로 그 가치를 인정받으며 유지시킨다고?!

암호화된 기법이 들어간 화폐역시, 그 가치를 믿고 써주는 이들이 많아질 때, 비로소 가치가 부여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마치 비트로 피자사먹어, 지금보면 호구처럼 보여도, 영원히 역사에 기록될 그 순간처럼..

그렇게 매개체로 쓰이는 순간, 그래? 그게 그렇게 쓰일수 있다고?라며 새로운 집단의 인지에 불씨를 붙이게 됩니다.

불씨.webp
pixabay


# 유입 그리고 발행

국가레벨이 아닌 일반 프로젝트/기업 레벨에서 화폐를 발행함에 있어 결정적으로 숨통이 막히게 되는 순간은, 그러한 내수마켓이 없는 상태에서 발행된 화폐가 소비로 유통되지 못한 채, 집단의 인지를 형성하지 못한 채,

다른 화폐로 교환의 수요만 발생하는, 그저 매물이 매물을 낳는 형국이 될 때입니다. 응 그거 들고 있어도 할수 있는게 별로 없어서..

그냥 미래에 더 많은 그것을 얻게 되는 기대 뿐이라면, 물량을 묶어두고 출회를 이연시키는 효과가 마냥 지속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 시간을 버는 동안 더 많은 사람들, 같은 기대 혹은 다른 차원의 수요를 지니고서 동 화폐를 원하는 이들을 늘려 나가던가, 아님 정말 외부세계에도 먹힐수 있는(마치 수출처럼) 고유의 가치를 만들어 나가야합니다.

새로운 화폐 발행의 주체가 만들어내는 가치가 객관적으로 측정가능한, 법정화폐화 할수 있는 것이라면 더할나위 없이 좋겠지만, 연결지점을 찾고 지속가능하게 만든다는 것은, 최면을 넘은 진빼이를 만들어야 가능해집니다.

주조.jpg
출처:pixabay

그 진빼이는 단순히 자본만으로도 안되고, 유저만으로도 힘듭니다. 자본과 유저가 함께, 그 집단 밖의 이들도 인정할수 있는 무언가를 만들어낼 때, 내부에서도 당당하고 마음편하게 그 자본과 노동이 녹아져서 새로이 발행된 화폐로 타 재화를 소비하고 유통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일시적인 금융기법들과 으쌰으쌰 그냥 고고씽의 마음만으로는, 결국 어느순간 의심의 싹은 틀 수 밖에 없고, 내수가 약화된 상태에서는 치명적인 결과를 불러오게 되는 것 같습니다.

결코 유저의 유입을, 당장 자본이 없는 유저라 할지라도, 언제든 새로운 화폐로 피자를 사먹을 수 있는 잠재유저이기에 간과할 수 없으며, 화폐를 얻어가려는 이들이 아닌 피자를 사먹으려는 이들이라도 몰릴수 있는 판을 만드는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그 피자가 정말 피자일수도, 엣지있는 내용의 컨텐츠일 수도, 그리고 업무에 도움이 되는 사람과 필요한 자본의 조달일 수도 있지만, 어떤 형태든 유입의 이유가 명쾌해야, 지속적 화폐 발행의 근간이 유지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치고정의 KRWP로 저자보상을 지급하며 발행하는 것은 안정적 내수마켓 형성의 시작점일 수 있습니다.

다만, 플랫폼 특성상,

①화폐 주조의 원재료가 될 수 있는 유저의 직간접적인 유입과, ②보상 화폐량에 걸맞는 컨텐츠의 생산/측정, 그리고 ③투자심리를 안정화 시킬 수 있는 넓은 입출구의 마련이 전제되어야, 제대로된 화폐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게 아니라면, 늘어나는 발행량에 점점 매도하기도 힘들고 쓸곳이 없는 스테이블이 될 우려도 함께 존재한다 생각합니다.

집단의 인지에 새로운 불을 지필 수 있는 건강한 생태계 구조가 형성되고 순환될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모두들 편안한 밤되세요~!!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1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