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21하드포크는 실패작이었습니다. 21하드포크 제안자들은 더이상 나대지 말았으면 합니다.(Steem 21 Hard fork was a failure. 21Hard fork propositions don't want to go off any more.)


  • 21하드포크가 있고 제법 시간이 흘렀습니다.

  • 지금쯤이면 21하드포크가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분석하는 포스팅이 있어야 함에도....분석 포스팅은 커녕 긍정적 효과를 내고 있는지 아니면 부정적 효과를 내고 있는지 정도에 대한 글조차 안보이는것 같습니다.


더 많은 글에 큐레이팅하는 큐레이터가 스팀블록체인에 더 많이 기여하지만, 21하드포크에서는 더 많은 글에 큐레이팅 할수록 큐레이팅 보상을 덜 받게 받게 됩니다. 어처구니 없는 설계였고... 결과는 참담합니다.


  • 이런 경제모델 설계는 스팀 블록체인의 활력을 크게 떨어트렸습니다.

  • https://blocktivity.info/ 에서 늘상 1위를 하던 스팀은 어느덧 7위로 밀려난 상태입니다. 스팀트랜젝션은 포스팅보다는 업보팅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21하드포크는 업보팅 횟수를 줄이도록 권장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현상은 왜 일어날까요?


  • 21하드포크는 더 많은 글에 업보팅을 할수록 큐레이션 수익이 감소합니다. 당연히 사용자는 업보팅횟수를 줄이면서 효율적 업보팅을 하게 됩니다. 이론적으로 21하드포크는 1일 11회 100%파워로 업보팅할 때 가장 큰 큐레이션 보상을 제공합니다. 비선형+선형 보상이라는 이론적으로는 그럴듯 하지만 아주 바보같은 방식 때문입니다.

  • 이해를 돕기 위해 @sct.krwp 계정과 @smooth 계정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 @sct.krwp 계정의 스팀파워는 1,704,847 이고 @smooth 계정의 파워는 1,029,185 입니다. 1:0.6의 비율입니다.

  • 예로든 2 계정의 큐레이션 수익을 살펴보겠습니다.




  • 스팀파워는 40%나 적은 @smooth 계정의 큐레이션 수익이 @sct.krwp 계정보다 32%나 많습니다. 더 문제는 @sct.krwp 계정이 @smooth 계정보다 월등히 많은 글에 업보팅을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 더 많은 글에 더 많은 스팀파워를 가지고 업보팅한 계정의 수익이 월등히 적은수의 글에 업보팅한 계정의 큐레이션 수익보다 적어지도록 설계된 21하드포크는 실패작입니다.

  • 활력을 떨어트리도록 설계된 경제 모델을 만들어 놓고 시장가치가 오르기를 바라는 것은 멍청한 것입니다.


21하드포크 제안자들은 더 이상 나대지 말았으면 합니다.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2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