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809오늘의서울시] 2일 행사를 위해 광장에 모래를 깔겠다는 서울시

[오늘의 서울시] 그 놈의 모래 사장 만들기, 집착인지 일관성인지

문제 하나.

이 두 개의 사진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은 뭘까?

image
image

맨 위의 사진은 작년에 서울시가 하려고 했다가 대차게 욕을 먹은 사업이다. 결국 해당 기간에 비가 온다고 해서 취소했더랬다. 그 아래 사진은 올 해 서울시가 10일, 11일 2일동안 만들겠다는 인공 모래사장이다(작년엔 이를 민간단체가 제안한 것이라 말하면서 빠져나갔더랬다. 올해도 그럴 건가 싶다).

작년엔 잠수대교에서 하겠다 하더니 이젠 서울광장이다.

질문 둘.

서울시는 이 행사를 파리의 센 강에서 했던 빠리 쁠라주를 쫒아한 것이라 밝혔다. 그러면 실제로 빠리 쁠라주에 인공 모래 사장이 있을까.

원래는 있었다. 하지만 재작년부터 해당 모래를 운반하는 회사가 IS와 관련이 있는 회사라는 것이 드러났다. 여기에 도심에 모래를 가져오는 것이 과연 환경적인 일인지에 대한 평가가 진행되었다. 그래서 2017년 부터는 인공 모래사장을 넣지 않는다(https://www.sortiraparis.com/arts-culture/walks/articles/53926-paris-plages-2018-artificial-sand-free-beaches-along-the-river-seine/lang/en).

그리고 이를 둘러싼 다양한 지역의 논쟁이 있었다(https://www.sortiraparis.com/arts-culture/walks/articles/53926-paris-plages-2018-artificial-sand-free-beaches-along-the-river-seine/lang/en).

그러니까 서울시가 쫒아한다는 그 모래 사장은 발상지에서도 ‘시대에 뒤쳐져 있는 때늦은 기획’인 셈이다.

게다가 광화문 광장에선 얼음조각상을 가져다 놓는다 한다.

image

제발 좀 생각을 했으면 좋겠다. 광장에 모래를 가져오고 얼음을가져다 녹이는 것이 얼마 만큼의 탄소발자국을 남기는 일인지 말이다. 시민들은 빨대도 쓰지 말자고 난리인데 서울시는 때지난 인공 모래사장에, 얼음 축제라니 정말 생각이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

최소한 시민의 의식 수준보다 약간 높았으면 좋겠는데 그것이 아니라도 그 밑으로는 떨어지지 않았으면 좋겠다. 무리한 부탁인가. 시민들이 기후변화의 피해를 직접적으로 겪고 있는데도 이런 일회성 사업을 진행하다니, 배포 한번 좋다. 그냥 시민이 좋다고 해서 한다면 뉴타운을 좋아서 한다고 했던 이명박과 뭐가 다른가. [끝]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