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 강 녹아, 섬진강 어류 생태관으로-순간을 영원으로(#141)

image

봄이 성큼성큼 다가온다. 언 강이 녹고, 남쪽은 매화가 피기 시작한다.

강물이 녹는 만큼 물고기들도 활발하리라. 구례에 있는 어류 생태관은 섬진강을 끼고 있다. 아이들과 함께 해도 좋지만 어른들도 한번쯤 들릴만한 곳이다.

들머리에 간단한 아이들 놀이 시설이 있다.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날 수 없듯이 여기서 아이들과 간단히 몸을 풀고 들어간다.

사실 그리 화려한 볼거리가 있는 건 아니다. 큰 도시에 많이 있는 아쿠아리움에 견주면 초라할 정도다. 하지만 애정을 가지고 꼼꼼히 살펴보면 그 나름 뜻이 있다. 섬진강을 끼고 있다는 게 큰 장점이리라.
메기다)

생태관을 두어 시간 둘러보았다. 그 가운데 내게 가장 인상적인 것은 강 상류와 하류에 따라 물고기 종류가 다르다는 점이다. 상류는 아무래도 맑은 물이고, 수심이 얕고, 수량이 적다. 여기에 따라 물고기들이 작다. 하류의 물고기들은 크기가 다양하다. 다만 점점 강물도 오염이 되어, 살아남는 게 과제가 될지 모르겠다.


아무튼 이 곳 생태관에서는 최상류, 상류, 중류, 하류...이런 식으로 나누어 놓았다. 물고기들이 어느 정도는 강 위 아래를 오르내리지만 사는 곳을 크게 벗어나지는 않나 보다.

이를 보면서 우리네 사람 삶도 조금은 비슷하지 않나 싶다. 대도시에서 사는 사람들은 대부분 인생을 그 곳에서 산다. 산골에 사는 사람들 역시 큰 변화가 없는 한 지역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거 같다. 그런 점에서 ‘노는 물’이란 말이 그 나름 뜻이 담겨 있는 거 같다.

도시니 산골이니 하는 것도 노는 물이지만 그 밖에도 쓰임새는 많겠다. 인터넷을 보기로 들어도 그렇다. 구글에서 노는 사람, 다음에서 노는 사람, 스팀잇에서 노는 사람, 페이스북에서, 유튜브에서....

생태관을 나와, 자전거 길인 둑을 넘으니 그곳이 바로 섬진강이다. 과연 어린 연어들이 섬진강에 살까. 명색이 섬진강 어류 생태관이니 강으로 가보지 않을 수 없다. 산책도 하고, 아이랑 물수제비 놀이도 즐겁게 했다. 아이는 도무지 집으로 돌아갈 생각을 않는다.

어류 생태관을 이 곳 강과 연결했다면 더 환상적이지 않을까.

aaronhong_banner.jpg


여행지 정보
● 대한민국 전라남도 구례군 간전면 간전중앙로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섬진강어류생태관



언 강 녹아, 섬진강 어류 생태관으로-순간을 영원으로(#141)

이 글은 스팀 기반 여행정보 서비스

trips.teem 으로 작성된 글 입니다.

image


Sponsored ( Powered by dclick )

dclick-imagead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1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