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은 다른 동남아 국가들과 교통 체증이 심하다는 점에서 닮아 있다.
그런데 지하철이 없다는 점에서 많은 나라들과 다르다.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메트로폴리스가 메갈로폴리스로 향하는 동안 사실상 베트남 중앙 정부는 시민들의 이동 수단을 시민들 각자에게 부담시켜왔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door to door 이동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인프라 투자도 크게 필요 없는 오토바이로 이동 수요 대부분을 해결했다.
하지만 도시가 점점 확장되고 밀도가 높아져 감에 따라 인프라는 오토바이 수용도 힘겹기 시작했고, GDP 의 상승에 따라 늘기 시작한 차량의 수요는 급속하게 대중교통의 필요성을 베트남 정부에 강제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베트남에서는 2004년과 2008년에 메트로 건설에 대한 논의가 있기는 했지만, 그 시행이 굉장히 더뎠다. 아마도 복잡하게 얽힌 이권과 자본의 문제가 아니었나 추측해본다. 2017년 완성이 될 것으로 보였던 1호선은 지지부진한 진도 끝에 2020년이면 드디어 완공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건설이 되고 있는 1호선의 노선과 앞으로 놓일 지하철 노선도를 살펴보면 호치민 시 전 지역을 커버할 뿐 아니라, 앞으로 도시가 뻗어나갈 지역도 아우르며, 외곽 주요 도시와 연결되는 철도를 놓고 그와 연계하려는 계획까지 살펴볼 수 있다.

Image @ nomadicnotes.com
빨간색의 1호선을 보면 호치민 1군 지역의 핵심이라 볼 수 있는 벤탄 마켓에서 투득군에 새로 지어질 미엔동 버스 터미널까지 연결이 된다. 1군의 관광 및 상업의 핵심 지역인 CBD 를 거쳐, 빈탄, 2군의 타오디엔, 안푸, 투득군을 지나니 핵심 지역을 따라 우선 지하철이 놓이게 되며, 이 노선의 접근성에 따라 현재 빈탄군에 있는 기존의 버스 터미널은 아예 이전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이 노선을 따라 줄줄이 아파트가 들어서고 있다.

바로 다음 타자로 들어설 2호선은 동쪽으로는 추후 들어서는 투티엠 신도시의 교통 수요를 담당하게 된다. 서북쪽으로는 출퇴근 교통 정체가 극심한 구찌 (Cu Chi) 지역까지 확장될 것이다. Ga Saigon 역과는 400m 거리만 두고 연결되는데, Ga Saigon 역으로 가면 하노이까지 가는 베트남 종단 기차를 탈 수 있다.(검은색 라인) 그리고 시간이 좀 걸리겠지만, 결국 시내의 국제공항이 시 동쪽 외곽으로 이전하게 되면, 아마도 2호선이 공항까지 연장될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3호선은 3A 와 3B 로 나뉘어 진행될 것이다. 파란색의 3A는 1호선의 연장으로 시 서쪽 이동 수요를 담당하고, 보라색의 3B 는 또 하나의 주요 공단 지역인 빈증으로 연결될 예정이다.
녹색의 4호선은 도시를 남북으로 가로지르게 되는데 현재의 떤선녓 공항 이동 수요를 담당하게 될지 여부가 관심사다. 공항이 이전할지, 남게 될지에 따라 노선 변경 여지도 많다. 그리고 아직까지는 너무 먼 시점의 개발 계획이라 마스터플랜만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Image @ qhkt.hochiminhcity.gov.vn
한인들이 많이 사는 지역인 푸미흥과 투티엠 신도시를 거치게 되는 MR2 라인은 모노레일로 기획이 되고 있다. 외자를 유치해서 건설하는 것으로 보이며, 지반이 약한 늪지 대부분을 지나기 때문에 모노레일을 기획하는 것이 아닌가 예상해본다. 푸미흥은 늪지를 메워 주거 타운으로 개발한 지역이며, 투티엠도 늪지를 주거 지역으로 바꾸는 곳이다. 이런 지대를 파고 들어가 지하철을 운영하기에는 부담이 되지 않을까 싶다.
앞으로 놓일 대부분의 지하철 노선들은 대부분 벤탄 마켓에서 만난다. 따라서 벤탄 마켓 주변은 아래 개념도 좌에서 우로 변할 것이라고 한다.

Image @ maur.hochiminhcity.gov.vn
이렇게 거미줄 처럼 얽히게 될 지하철과 철도의 연계망은 베트남 내에서 그치지 않을 것이다. 동남아시아 횡단철도의 일부분으로서 일단 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과 연결될 것이며, 곧 동남아시아 전역과 연계가 되어 물류와 사람의 이동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될 전망이다.

Image @ nomadicnotes.com
이러한 인프라의 구축으로 인해 곧 슈퍼아시아의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예측도 쏟아지는 가운데 중국과 일본은 동남아시아 전역에 자본을 들이붓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일본이 많은 파이를 가져갔으며, 라오스에서는 중국이 압도적인 지분을 가져갔다.
이렇게 중국과 일본이 막대한 자본으로 인프라 전쟁을 벌이고 있는 동안 우리나라 사진 기자들은 강과 촛불, 말과 프라다 구두를 찍고 있어야 했으니 애석한 일이다.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콘텐츠 작성으로 보답하겠습니다. :)
Sponsored ( Powered by dclick )
DCLICK: An Incentivized Ad platform by Proof of Click - 스팀 기반 애드센스를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스티미언 여러분. 오늘 여러분께 스팀 블록체인 기반 광고 플랫폼 DCLICK을 소개...

이 글은 스팀 기반 광고 플랫폼
dclick 에 의해 작성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