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 ] 베트남의 소비자들과 내수 시장

베트남의 인구는 9,200만을 찍고 1억을 향해 가고 있다. 9천만이 넘는 인구 중 40%의 인구가 25세 이하이며, 45%는 25-54세 사이에 분포한다. 그리고 이들의 1인당 평균 소득은 2년마다 30%씩 올라가고 있다. 그만큼 잠재력이 큰 시장으로 세간에 알려져 있는데, 베트남 안에서도 호치민의 경제 규모가 가장 크다.

1-1.JPG

보다시피 호치민의 규모는 베트남 전체 평균에 비해 4배가 넘고, 수도인 하노이와 비교해도 두 배가 넘는다. 그럼 이들은 계속 늘어나는 소득을 어디에 소비하고 있을까.

2-2.JPG

66% 의 소득은 생활비로 지출하고 있고, 잉여 소득의 60% 정도를 저축한다. 그리고 잉여 소득의 30% 가량을 여행, 여가에 사용하는데, 월급의 대부분을 저축하던 우리네 부모님 세대와는 많이 다른 소비 행태다.

역시 Nielsen 의 자료를 살펴보면 건강과 복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계속 커지고 있어, Gym, personal care & green eating 등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게다가 86% 의 응답자가 보다 품질이 좋은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 기꺼이 돈을 더 지불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니, 베트남에 대한 인식 및 관점도 빠르게 맞춰서 바꿔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Top sustainability factors influencing the purchasing intentions of Vietnamese consumers
High-quality products (79%)
Products known for their health and wellness benefits (77%)
Products made with fresh, natural and/or organic ingredients (77%)

이렇게 베트남 사람들의 눈높이가 빠르게 높아지고 기꺼이 돈을 쓰려는 풍조가 만연하면서, retail store 들은 quality 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CBD 를 벗어나는 지역으로도 기존 대비 깔끔하고 잘 정비된 retail 지역이 확산되고 있다.

3-3.JPG

공실률이 낮아지자 retail space 공급세가 다시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CBD 와 그 외 지역을 구분하지 않고 retail space 가 공급될 것으로 예측된다. 자연히 공실률이 일단은 올라갈 것인데, 어떤 retail 형태가 이 빈 곳을 채울지 기대가 된다. 앞으로도 당분간은 계속 시내 모습이 빠르게 변할 것 같다.

4-4.JPG

이렇게 retail space가 늘어가는 바닥에는 안정적인 고용 시장에 대한 믿음이 깔려있다. 해외직접투자가 계속 이어지는 가운데, 인구의 절반을 훌쩍 넘는 사람들이 고용된 상태에서 저축보다는 소비를 즐기니, 잘만 드라이브한다면 향후 베트남의 내수 시장 규모는 굉장히 매력적으로 변하지 않을까 싶다.

물론 언제인지가 문제지만.

흥미롭게 읽어주셨다면 아래 녹색의 긴 광고 한번 클릭 부탁 드립니다.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콘텐츠 작성으로 보답하겠습니다. :)

Sponsored ( Powered by dclick )
DCLICK: An Incentivized Ad platform by Proof of Click - 스팀 기반 애드센스를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스티미언 여러분. 오늘 여러분께 스팀 블록체인 기반 광고 플랫폼 DCLICK을 소개...

logo

이 글은 스팀 기반 광고 플랫폼
dclick 에 의해 작성 되었습니다.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2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