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중인 「Steemit, Inc.」, Steemit 유지비용으로 얼마를 쓰고 있을까요?

603.png

※ 단순 참고용입니다. 1)번은 구체적 이해를 위한 Intro이므로, 2)번만 보셔도 직관적 이해에는 충분합니다.

1) Intro


최근 ned가 Steemit, Inc.의 약 70%인력을 감축하고, 각종 운영비용을 줄이는데 집중하고 있다는 발표를 보셨을 겁니다.

(11/28) Steemit Update

Steemit, Inc. is currently undergoing a structural reorganization which I believe is important to share with the community.


과연 Steemit, Inc.가 Steemit플랫폼의 유지를 위해 지출하는 비용은 얼마나 될까요?

몇몇 이들이 이것을 공개할 수 있는지 물었지만, 그에 대한 구체적인 답은 물론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 최대치를 개인적으로 추정해보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Steemit, Inc.의 업무 특성상 그것이 Steem블록체인 유지를 위한 것인지, Steemit플랫폼 유지를 위한 것인지를 확실히 구분짓는 것은 어렵습니다. 가령 빗썸에 Steem을 상장하기 위해 지불한 것으로 보이는 즉, 상장수수료로 추정되는 40만 개의 스팀은 Steem블록체인 유지를 위한 업무인가요 아니면 Steemit플랫폼 유지를 위한 업무인가요? 회계적/기계적으로는 전자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둘 다 섞여있다고 보는 것이 좀 더 실질에 부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만 ned가 글 중에서 Steemit, Inc.는 Steem블록체인에서 Steemit이라는 디앱을 유지하기 위한 개인회사이고 그 자원의 일부를 Steem블록체인 유지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는 표현을 통해 steemit플랫폼과 steem블록체인을 애매하게나마 구분지었기 때문에,

Steemit Inc., is a private company that runs the open-source steemit.com, a decentralized app on the Steem blockchain. Steemit Inc., also uses some of its resources and engineers to contribute code updates to the Steem blockchain.


Steem블록체인 안에는 Steemit, Inc.관련 계정들이 상당히 많음에도 불구하고, 주로 Steemit, Inc.에서 일어나는 상설 업무들을 위한 비용을 만들기 위한 계정으로 추정되는 즉, 자금팀장 계정인 @alpha의 자금흐름을 통해 Steemit, Inc.의 기본비용을 추정해보기로 하였습니다.

따라서 @alpha계정이 만들어 낸 자금규모는 Steemit, Inc.직원들의 임금, Steemit플랫폼 유지를 위한 서버나 이미지 저장 비용 등 각종 인프라비용에다가 향후를 대비한 유보(혹은 이익)금을 얹은 금액 정도로 보시면 적절할 듯 싶네요.

물론, Steem블록체인 유지를 위한 비상설적인 업무 비용이 또다른 계정들을 통해 추가적으로 더 들어가고 있으며 , 2)번에서 다루게 되는 @alpha계정이 만들어 낸 자금규모만으로도 적지 않지만,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는 비용도 같이 들어간다고 생각하면, alpha계정 전체의 자금규모는 궁극적으로는 Steemit의 유지를 위해 들어가는 최소한이라고 보는 것이 마음 편할 듯 싶습니다.


2) alpha계정의 자금 유출입 경로 및 그 규모(최근 1년)


Steemit, Inc.는 alpha계정을 통해 Steem과 SBD를 현금화하여 주로 상설업무 관련 비용을 충당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그렇게 현금화된 규모 속에는 사실 운영비용 이상의 유보(혹은 이익)금을 미리 쌓아놓을 여지가 클 것입니다. 최근 1년간 누적 1만 스팀(또는 스팀달러) 이상 움직인 경로만 추적해보았습니다.

① 최근 1년 Alpha에서 나간 STEEM, SBD

600.png
<Source: steemsql>

1,040만 스팀 중 45%인 470만 스팀이 blocktrades로, 44%인 460만 스팀이 비트렉스 거래소로, 8%인 84만 스팀은 폴로닉스 거래소로, 3%인 27만 스팀이 바이낸스 거래소로 이동했습니다.

55%가 거래소로 간 반면, 45%가 blocktrades로 흘러간 것으로 보아 Steem, Inc.의 운영에 있어 blocktrades에게 상당한 의존을 하고 있는 것을 보입니다.(주요 자회사급 느낌이죠.)

스팀달러는 스팀 대비 규모가 미미하나, 대부분 비트렉스 거래소로 이동하였습니다.

이렇게 (1년간 누적 1만개 이하 계정 제외하고) 약 1,040만개의 스팀과 46만개의 스팀달러를 Steemit, Inc.의 운영에 이용된 최대치로 추정 가능할 것입니다.

월 단위 스팀 이동량을 살펴보면,

603.png
<Source: steemsql>

시세가 좋았던 작년 12월, 올해 1월 등에는 상당한 규모의 금액을 얻어서 운영비용을 훨씬 상회하고도 비교적 많이 쌓았을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로 어떠할지는 모르겠군요.

그 후에도 월 단위로 40만~130만개 정도를 꾸준히 매도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올해 4월 제외)

시세 400원 기준으로 100만개면 현재로서는 약 4억 / 월 정도가 되겠군요.

연간 인프라관련 비용이 200만불 즉 원화로 20억 남짓으로 밝혔으니, 사실 저 정도의 월간 자금규모는 필수 유지비용만으로 보기에는 그리 적지는 않은 수준일 듯 합니다.


② 최근 1년 Alpha로 들어온 STEEM, SBD

601.png
<Source: steemsql>

운영비용의 원천이 되겠지요. 누적 1만개 이상으로만 살펴보면,

93%인 990만 스팀은 steemit2 계정에서 건너왔네요. 그 외에 poloniex, buildawhale, blocktrades, appreciator, themarkymark, arsahk, minority-report, bittrex, anomadsoul 등에서 소소하게 건너왔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buildawhale, appreciator 에서도 조금 들어오고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건너 온 스팀달러의 74%인 35만 스팀달러가 buildawhale, appreciator 에서 온 것으로 볼 때, 이 두 비드봇(Bitbot)은 최소한 Steemit, Inc.와 연계된 수준이 비드봇이지 않을까 싶네요.


감사합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Sponsored ( Powered by dclick )
스팀잇에 투자를 고민하면서.

미친 만족감. 당장 이익이 발생하지 않아도 고객에게 미친 만족감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4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