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neficiary(수혜자) 를 아시나요 ?

들어가기 앞서, 제가 이해한 부분과 틀린 부분이 있다면 답글로 피드백 부탁 드립니다. 본문에 수정 반영 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익의 분배

[원문]
https://www.steem.center/index.php?title=Rewards:Formulas

총 지불금은 저자, 큐레이터 및 수혜자의 3 부분으로 나누어집니다. 고정 비율은 없지만 일련의 계산 및 전송이 있습니다.

첫째, 75 %는 저자를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게시물 아마도 그 중 일부는 수혜자에 대해 정의됩니다. 이것은 Hard Fork 18의 새로운 기능으로 STEEM 용 Apps를 개발하는 개발자를위한 새로운 수익 창출 옵션을 제공합니다.

지불금의 나머지 25 %는 큐레이터를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그들의 돈 중 일부는 작가에게 돌아가고, 나머지는 최종적으로 큐레이터들에게 배포됩니다.

1000px-Infographic_rewards.jpg

2. 베니피셔리(beneficiary)의 정의

[원문]
https://www.steem.center/index.php?title=Reward_Beneficiary

Reward Splitting이라고도하는 Reward Beneficiaries는 Hard Fork 18 [1]에서 소개 된 기능입니다. 작성자는 작성자 보상 공유의 일부를 다른 계정에 배포 할 수 있습니다. 게시물이나 댓글에 comment_options 연산을 사용하면 최대 8 명의 수혜자를 추가 할 수 있습니다. 수혜자 보상은 사용자가 선택한 지불금 옵션에 관계없이 항상 100 % SteemPower로 지불됩니다. 수혜자의 지분은 총 게시물 보상의 저자 부분에서 공제됩니다. 현재 steemit.com 및 대부분의 타사 앱에는 게시물 또는 댓글의 수혜자 설정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수혜자 설정은 Steemd에서 볼 수 있습니다.

리워드 수혜자는 포스트 또는 코멘트에 즉시 추가되거나 포스트 또는 코멘트가 투표되지 않았고 아동 코멘트가없는 한 나중에 언제든지 작성 또는 코멘트에 추가 될 수 있습니다. 수취인은 게시물이나 의견별로 한 번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 편집하거나 제거 할 수 없습니다.

3. 결론

스크린샷 2018-03-14 오후 2.00.46.png

베니에 대해서 모르시는 분들도 많고 저 또한 완벽하게 알고 있다 라고 말하기 어렵지만, 사용하시는 플랫폼이 (esteem, steepshot, utopian 등 ) 적절한 베니를 지급하고 그만큼 유용한 플랫폼인지 확인하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 합니다.

[중요] 유용한 플랫폼에는 그에 따른 수익보장을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해야 된다 생각 됩니다. 그 도구?가 수혜자(beneficiary)가 아닐까 생각 됩니다.

이 글이 좋다면 꼭 리스팀 부탁 드립니다. 베니(beneficiary)를 아시는 분이 너무 적어 알리고 그에 맞는 피드백이 필요한거 같습니다.

다시한번, 제가 이해한 부분과 틀린 부분이 있다면 답글로 피드백 부탁 드립니다. 본문에 수정 반영 하도록 하겠습니다.

4. 참조 사이트

https://steemdata.com/
https://steemdb.com
https://steemd.com
https://www.steem.center
@abit/hard-fork-18-how-to-use-author-reward-splitting-feature

5. 추가 수정사항

[03/14 22:00]
기존 @busyorg 에 대한 글 부분은 제거 하였습니다. 공식 계정은 @busy.org 입니다. ( 유사품에 꼭 주의 바랍니다. )

여러분들 busy.org 많이 애용해 주세요 ^^/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2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