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어 바로잡기] 002. "그 하얗고 울룩불룩한 타이어 캐릭터 있잖아. 미슐... 랭?"

프랑스는 대표적인 미식의 나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현지에 체류 중이거나 여행 온 한국인들은 쉽게 동의하기 힘든 일 중 하나입니다. 미식의 나라치고는 끼니 때마다 갈 만한 식당을 찾는 게 쉽지 않거든요. 프랑스 가정식이나 전통식을 다루는 곳조차도 한국인들에게는 그다지 새로운 맛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프랑스인들은 어딜 가나 따라가 보면 이태리 레스토랑이 나옵니다. 프랑스의 이태리 레스토랑이라고 해도 특별할 건 없습니다. 피자와 파스타가 주메뉴니까요.
전 세계의 음식이 다 들어와 있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려고, 내로라하는 셰프들이 오늘도 별을 놓고 치열하게 싸우나 봅니다.

오늘은 바로 그 별의 지명자 Le Guide Michelin의 표기법을 바로잡고자 합니다.



The Michelin Guide

미쉐린 가이드

new_logo_desktop.png

좋은 레스토랑을 안내하는 책의 대명사가 된 미쉐린 가이드가 타이어 회사 Michelin에서 나왔다는 건 이제 상식이 되었습니다. 자동차 여행을 장려하려는 목적으로 그래서 타이어 좀 많이 팔아먹으려고 1900년에 처음 '끼워주기' 시작한 미쉐린 가이드는 본래 레스토랑을 안내한 책이 아닙니다. 처음에는 각 지역의 호텔 등급과 요금에 대한 안내가, 그 다음에는 정비소와 병원, 명소 등을 망라하더니, 1920년에 이르러서 자신들의 비밀조사관이 평가한 좋은 레스토랑을 가이드에 포함시킵니다. 페이지수가 늘어나고, 타이어를 사면 공짜로 끼워줬던 가이드를 '별도 판매'하게 됩니다.


Guide-Michelin-2017-livres-720x277.jpg


이때부터입니다. 셰프들이 별에 따라 웃고 울고, 심지어 죽음으로까지 내몰리게 된 게...

이 악마적 가이드북은 현재 한국에선 영어 표기에 따라 미쉐린 가이드라는 명칭으로 쓰이고 불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현지어 표기를 선호하고 존중하는 분위기에 따라 많은 미디어에서 프랑스어식 명칭 역시 즐겨 쓰고 있는데요. 바로 미슐랭 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틀렸습니다.

"미슐랑."



이것이 표준 프랑스어 발음에 가까운 표기입니다. 한 번 들어볼까요?



(1:08를 재생해 보세요. 재생 출발시간 설정이 안 먹히는데 이유를 아시는 분 댓글로 도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잘 들리시나요?

뜨거운 와인을 뜻하는 방 쇼 Vin chaud 와 마찬가지로 /자음+in/의 조합은 /자음+앙/으로 발음합니다. /앵/이 아니라요. 쉽죠? (남부 발음으로 들어보고 싶은 분은 위 동영상 1:01초를 재생하세요)


2018년에는 미슐랑의 간택을 받은, 별들의 전쟁에서 살아남은 곳에서 미식을 즐길 수 있는 행운이 여러분과 함께 하길 바랍니다.


P.S. 이 시리즈는 프랑스어에 관한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규칙이 바뀔 때까지 계속 이어갈 생각입니다. 다소 복잡해 보이는 규칙이지만 일단 적용만 하면 지속적으로 올바르게 쓸 수 있는데도 학계나 정부나 바꿀 생각이 없는 것 같습니다. 지금이 해외 여행, 연수, 유학이 어려운 시대도 아니고, 하다못해 유튜브나 forvo.com 혹은 네이버 사전에서도 올바른 발음을 생생히 들을 수 있는데도 말이죠.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