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평가업계 관계자의 소고 :: 가상화폐를 평가한 Weiss Ratings는 어떤 회사인가?

2018년 1월 24일, Weiss Ratings가 가상화폐의 신용등급을 발표하면서 언론이 그 결과를 주목하고 있다. 가상화폐를 투자하거나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반응이 더해지면서, 이슈화되고 있다. 어딘가에 등급을 부여하고, 등급에 따라 서열을 매기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특히, Weiss Ratings의 가상화폐 신용평가 결과발표는 안갯 속을 걷는듯한 가상화폐 시장에 참고할만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것만으로도 꽤나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1. Weiss Ratings는 어떤 회사인가

Weiss Ratings는 미국 중소형 신용평가기관이다.

Weiss Ratings는 가상화폐 신용평가 결과를 발표하면서, 자신들의 낮은 인지도가 겸연쩍었는지, 결과 발표문에 자신들을 소개하고 있다.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

"1971년에 설립된 Weiss Ratings는 금융기관을 평가하는 독립평가기관입니다. 국내 보험사, 은행, 신용협동조합, 주식, ETF, 뮤추얼 펀드를 포함하여 55,000여개의 기관과 투자상품에 신용등급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본 평가사는 무디스,S&P, Fitch, A.M.Best와는 달리, 평가대상으로부터 평가 수수료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개인투자자, 소비자 등 신용등급의 최종 사용자들로부터 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Weiss Ratings 홈페이지 : https://weisscryptocurrencyratings.com/ratings/the-weiss-cryptocurrency-ratings-explained-15)


2. 신용평가업계에서 Weiss Ratings의 권위는 어느 수준인가?

신용평가기관의 권위는 적격 외부신용평가기관(ECAI)의 지정 여부로 판단한다

바젤위원회는 신용평가사가 갖추어야할 기준을 제시하여, 이를 충족한 신용평가사를 ECAI로 지정하고 있다. 단, 바젤위원회는 ECAI 지정 요건을 제시하고, 세계 각 국가와의 협약을 통해 해당 국가의 금융당국이 ECAI 지정과 요건 준수 여부를 판단하도록 위임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금융감독원이 ECAI 지정과 사후관리를 담당하고 있으며, 국내에는 3개 신용평가회사(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나이스신용평가)가 ECAI로 지정되어 있다.

EU에서는 ESMA(European Securities and Markets Authority)에서 ECAI를 관리하고 있다. 유로존 안에서 신용평가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ESMA의 인증이 필요하다. (유로존 내 ECAI 리스트 : https://www.esma.europa.eu/supervision/credit-rating-agencies/risk)


미국은 US SEC가 ECAI를 지정한다.

미국의 경우, US SEC(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ion)에서 이 업무를 주관하고 있다. US SEC는 NRSROs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ECAI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무디스의 NRSRO 인증서]


*출허 :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 홈페이지


Weiss Ratings는 적격 외부신용평가기관(ECAI)이 아니다.

2018년 1월 현재 US SEC로부터 NRSROs로 지정된 신용평가기관은 10개이다. Japan Credit Rating Agency(일본신용평가)도 NRSROs로 지정되어 있는 것이 독특하다. 미국에 진출한 일본 기업, 미국 채권시장에서 발행하려는 일본 기업을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US SEC 홈페이지에 따르면, Weiss Ratings는 NRSROs가 아니며, 즉 적격 외부신용평가기관이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

[미국 내 NRSROs 지정현황]


(출처 : US SEC 홈페이지, https://www.sec.gov/ocr/ocr-current-nrsros.html)


왜 Weiss Ratings는 ECAI에 지정되지 못했나

Weiss Ratings의 평가방법론과 평가보고서를 보지 못했기 때문에, 정확한 언급은 어렵다. 다만, 업계 현황에 비추어 추정할 수 있는 부분이 몇 있다.

ECAI에 지정되기 위해서는 엄격한 요건을 충족해야하며, 매년 이를 갱신하여야 한다. 규제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전문가 집단, 보안 등을 구축하기 위해 큰 비용이 소요된다. 이용자로부터 수수료를 받아 제공하는 수익 구조로는 이를 구축하기에 쉽지 않아보인다.

또한, 등급 체계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어야 하며, 부도율에 대한 통계 데이터가 누적되어야 한다. Weiss Ratings는 채권시장에 대응하여 규제 요건을 충족하는 방식으로 영업하는 것을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다음 글에서 이를 조금더 심화하여 설명할 생각이다.


3. Weiss Ratings의 평가 결과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이번 가상화폐 신용등급평가를 기존의 신용평가체계의 틀 안에서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무디스나 S&P의 신용등급 체계는 각각 21등급, 22등급 체계로 분류된다. 각 등급별로 부도율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AAA는 3년차 평균 누적부도율이 0.00%, BB의 경우 12.12%와 같은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는 것이다. 직관적으로 느끼시겠지만, 등급이 낮아질수록 부도율을 상승해야한다. ECAI 지정시 가장 주목하는 데이터이다.

Weiss Ratings는 독자적인 등급체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A,B,C,D,E 등급으로 분류하고, 각 등급마다 +,-를 부여하고 있다. 기존의 체계와는 큰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기존의 신용평가체계로 이번 가상화폐 신용평가를 해석하는 것을 무리가 있다.

참고로 우리나라 신용평가사는 S&P의 22등급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의 신용등급 체계]


다만, ECAI 지정 여부와 신용평가업무 수행 가능 여부는 별개이다

한국 내 신용평가기관은 인가를 받야아 하지만, 미국은 설립 후 등록만 하면 된다. Weiss Ratings 역시 ECAI 인증을 받지는 않았지만, 국내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신용평가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Weiss Ratings가 ECAI로 지정되지 않았다고 해서, 이번 가상화폐 신용평가 결과를 무시해야한다는 것은 아니다. 그들이 판단하기에 적절한 평가항목를 선정하고, 평가항목을 뒷받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보니, 나름의 고민이 느껴진다. 매우 의미있는 시도였다고 생각된다.


Weiss Ratings가 S&P로부터 투기등급을 받았다는 이야기는 이 논의에서 중요하지 않다.

신용평가사의 능력은 적정한 평가로 증명된다. 만약, 신용평가사의 수익 구조가 열악하여, 수익성이 낮고, 자본이 미비하더라도, 이것을 신용평가사의 권위, 능력을 폄훼하는 근거로 사용할 수 없다.

일부 네이버 댓글에서 이런 내용이 오가길래 간단하게 언급해보았다.


이번 신용평가가 첫 시도이니만큼, 오류와 편의(bias)가 다수 발견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상화폐에 신용평가 개념을 도입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다.

따라서 다음 글에서는 Weiss Ratings의 신용등급 결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물론,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신다면 말이다 ㅎㅎ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2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