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한국현대사"를 펼치며...

나는 엔지니어다.
지금도 프로그램을 짜며 개발을 하고 있다.
아마도 내가 가장 잘 하는 분야일지 모른다.

하지만 스팀잇에 들어오면서 그 분야에 대한 글을 쓰는 것은 좀 어렵다.
굉장히 전문적인 영역이고 이에 대한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스팀잇에는 너무 적다.

전문 분야의 글을 쓰지 못하기 때문에 슬픈가 하면 그렇지는 않다.
나는 관심을 가진 분야가 무척 많다.

그중 하나가 인문학이다.
그중에서도 철학과 역사에 무척 관심이 많다.

나의 꿈은 "역사책"을 쓰는 것이다.
역사를 전공한 것도 아니고, 역사에 무지하지만
언젠간 이루어질지도 모른다는 희망만 품고 사는 것이다.

나는 스팀잇에 오면서 나의 책에 대한 꿈을
조금은 이루어줄수도 있겠다는 희망을 보았다.


결국 모든 성과는 한 걸음부터다.
"역사책"을 쓰는 나의 한 걸음을 어떻게 시작해야할까?

그때 나의 머리에 떠오른 한권의 책이 있다.
유시민 작가의 "나의 한국 현대사"

Snap1.jpg

나의 한국현대사 : 1959-2014, 55년의 기록
유시민 저 | 돌베개
ISBN: 9788971996096

예전 외국 출장을 자주 나갔던 시절이 있었는데
비행기를 타기전 공항에서 이곳 저곳 두리번거리며 아이쇼핑을 하던 순간
우연히 들른 서점에서 눈에 확 띄는 책을 발견한다.

"나의 한국 현대사", 제목이 딱 내가 생각했던 그 제목이었다.
윽, 유시민 작가가 내 꿈을 밟아버리는 순간...
내가 쓰려던 책을 먼저 내버린 위대한 인물...
늘 앞서간 천재들 때문에 나같은 범인들은 그저 눈물만 흘릴뿐이다.

비행기를 타고 가면서 내내 참 쉽고 흥미롭게 읽었다.
몰랐던 사실들도 많이 알았고, 나와 다른 생각들도 옅볼수 있었다.

비록 나보다 먼저 내 생각 속의 내용을 출판한 것이었지만
뭐, 그리 아쉽거나 화가나지는 않았다.
나도 또 하면 되니까 .;;


역사란 무엇일까?

내가 만약 어제의 "나"를 하나의 역사로 기록한다고 가정해 보자.

나 자신이 어제의 나를 완전하게 그려낼 수 있을까?
그게 과연 가능하기는 할까?

나의 24시간을 비디오로 촬영해서
그것을 온전히 다시 보여주면 그것이 과연 나일까?
나의 생각들을 또한 온전히 글로 표현할 수 있을까?
그것을 다 해낸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100% 어제의 나일수 있는가?

이 모든 것은 불가능하다.
내가 나의 어제를 기록해도 그것은 불완전하다.

역사는 사실의 "기록"이 아니다.
역사는 사실을 기초로 한 "창작"이다.

대학교 1학년이 되면 누구나 반드시 읽어야했던 책이 있었다.

123671180.jpg
http://www.yes24.com/24/goods/17254345?scode=032&OzSrank=1
(원래 이 책의 표지가 이랬었나? 좀 구리다 ㅋㅋ)

역사란 무엇인가,
E.H. 카 저/김택현 역 | 까치(까치글방)
원서: What is History?
ISBN: 9788972915812

매우 얇고 내용이 그다지 많지 않았던 책으로 기억한다.
이제 읽은지 너무 오래 되어서 내용도 뭐 가물가물하다.
딱 한 문장이 기억난다.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

이 말만 알고 있으면 이 책을 다 읽은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고 말하면 안되겠지만서도 ...

마치 아놀드 토인비의 역사의 연구를 한줄도 읽지 않은 사람이
문명의 발전은 도전과 응전의 역사라고 말하는 것과 같을 것이다.
(이 역사의 연구도 전질로 집에 있는데
있기만 하면 무엇하리... 읽지를 않으니... ㅠㅠ)

"역사란 무엇인가"는 누구나 한번쯤은
꼭 읽어봐야 하는 책인 것은 분명하다.

나무위키에서 내용을 가져와 보았다.
https://namu.wiki/w/%EC%97%90%EB%93%9C%EC%9B%8C%EB%93%9C%20%EC%B9%B4

역사로부터 배운다는 것은 결코 일방적인 과정일 수는 없다. 과거에 비추어 현재를 배운다는 것은 또한 현재에 비추어 과거를 배우는 것이기도 하다. 역사의 기능은 과거와 현재의 상호관계를 통해 양자를 더 깊게 이해시키려는 데 있는 것이다.
역사가의 지식은 개인적인 소유물이 아니라 여러 세대에 걸친 사람들이 여러 나라에서 그 축적에 참가해온 것이다. 그리고 역사가 즉, 그 행위를 연구하는 당사자들만 하더라도 진공 속에서 행위한 고립된 개인이 아니라 과거 어느 사회의 문맥 속에서, 또 그것에 충동을 받으면서 행위하고 있었던 것이다. (…) 그는 다른 많은 개인과 똑같이 하나의 사회적 현상이며, 그가 속한 사회의 산물인 동시에 그 사회의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 대변인이다. 그런 자격으로 그는 역사적 과거의 사실에 접근해 가는 것이다.

그렇다. "대화"이다. "소통"이다.

역사 속 인물과 소통하고, 역사를 기술한 역사가와 소통하고
현재를 살고 있는 나와 소통하고, 나의 친구와 소통하는 과정이다.

유시민의 한 권의 책을 통해서 유시민을 온전히 이해할 수 없다.
이 한 권의 책으로 대한민국 현대사를 온전히 이해할 수 없다.

다만 인생을 하루하루 살아가듯
과거와의 대화를 유시민과의 대화를 조금씩 해 나갈 뿐이다.


앞으로 계속해서 이 책의 내용과 함께
"유시민과 나의 대화, 그리고
대한민국의 과거와 현재"를 기술해 보려고 한다.

얼마의 시간이 걸리지는 잘 모르겠다.
어쩌면 끝이 나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오늘이 그 시작이자 프롤로그이다.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2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