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들어온 지는 일주일 되었지만
아직은 뉴비, 브라이언입니다.
매주 주중은 월화수목금 자전거 유럽 일주기 1편씩 연재를 하며,
주말엔 ICO 분석 포스트를 하나씩 쓰고 있습니다.
원래는 오늘 GoNetwork에 대해 쓰려고 했어요.
그런데, 엄청 괜찮은 것을 발견해서
일단 순서 새치기하고 이걸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글을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견해이며, 투자 전 꼭 스스로 조사해 볼 것을 추천드리며,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 있음을 밝힙니다.)
03 Pundi X
Pundi X 홈페이지
순서까지 새치기하면서 써 볼 오늘의 ICO는 Pundi X 입니다.
PoS 형 코인이고요, 탈 중앙화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비트코인처럼 총 발행량을 정해 놓았습니다.
이 토큰의 아이템은 코인 POS 시스템입니다.
0. At glance
이 ICO의 모토는
어느 샵에서도 쉽게 암호화폐를 사고팔 수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Q: 지금도 거래소에서 출금 메뉴에서 쉽게 송금할 수 있지 않나요?
A: 매번 거래소 가서 언제 오타날 지 모르는 주소 넣고 송금 눌러서 다른 채굴기들의 Confirmation 몇 회 날 때까지 기다려야 하잖아요?
이건 그걸 넘어서 아예 신용카드같은 거래가 가능하게 하자는 겁니다.
그래서 POS 시스템이라 하는 것이죠.
여기서 용어정리
코인의 채굴 시스템도 PoS고, 카드 페이먼트 시스템도 POS라,
정리를 하자면
PoS는 코인의 채굴,
POS는 카드 페이먼트 시스템
으로 기술하도록 할게요~
(가운데 O 의 대소문자 차이)
암호화폐 사는 건 물 사는 것보다 쉬워야 한다
편의점이든, 마트든, 어디서든
쉽고 간편하게 코인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PundiX의 목표입니다.
뭐, 말은 쉬운데요...
한 번 코인의 생태계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코인 작동 원리
역시 제대로 알아보려면 백서를 까야겠죠?
한국어다!!!!! 투기민국 헬조선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는 순간입니다!
번역이 그닥 매끄럽진 않습니다
아까 말씀드린 POS 시스템에 대한 내용입니다.
POS 시스템, PG사는 무엇을 돈을 벌죠? 수수료죠?
그 수수료는..
이더리움 기반 PXS라는 토큰으로 지불될 것이고,
지불된 토큰은 PoS 시스템에 의거, PXS 보유자에게 분배가 될 겁니다.
홈페이지에 보면, 1 ETH = 500 PXS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사실은 아닙니다.
가치 설정은 1 ETH = 1666.67 PXS로 설정해놓고, 초기에 500 PXS만 주는건데요,
처음에 먼저 1ETH = 500 PXS 비율로 토큰을 부여한다음,
가지고 있는 PXS 수에 따라서 3년간 매월 보너스를 받게 되는 구조입니다.
이 토큰은 채굴 자체가 없어 보입니다.
그렇게 되면 3년 동안 자체적이고 기계적인 방법으로 토큰 유통량이 늘어난 다음,
3년이 지나 발행 캡에 도달하면 아예 발행도 하지 않는 시스템으로 보입니다.
스팀같이 장기적인 홀딩을 유도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3년 동안, 가진 자만 계속 이자를 받는 방식, PoS 입니다.
이 도식으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건,
가맹점의 POS 기기 자체가 채굴기가 되는데,
가맹점이 결제 수수료로 PXS 토큰을 지불하게 되면,
지불한 토큰은 전체 네트워크의 PXS 소유 지분 비율대로 나눠 돌려주는 시스템으로 보입니다.
이러면 3년 후에 추가 발행이 끝날 때에도 PoS 시스템으로 이 토큰 시스템이 돌아갈 근거가 생깁니다.
POS 기기가 PXS 토큰을 많이 갖고 있으면, 자신이 결제차 가스 비용을 지불하고도, 보너스로 돌려받는 비율이 높아지겠어요.
그래서 이 토큰 생태계가 돌아가려면 가맹점 수가 많아야 하며,
이 생태계에서 내가 살아남는 방법은 ICO때 많이 가져서 존버하기 입니다.
그럼 먼저, 이 팀은 토큰 생태계의 시작을 굴릴 수 있도록
가맹점 수를 불릴 수 있을까요?
2. 팀원 및 회사 분석
CEO와 CTO 분이신데요, 이 두 분만 보도록 하겠습니다.
CEO 분 링크드인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말레이시아의 Multimedia University를 학부로 졸업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학교는...
말레이시아 국내 15위 정도 대학교입니다.
그런데 갑자기 석사가 무려 KTH가 됩니다. (교환학생이긴 하지만)
스웨덴 왕립 대학으로, 세계 98위 정도 하는 센 대학교죠.
그리고는 갑자기 HTML 규격을 선정하는 W3C 임원으로 있질 않나,
브라우져 중 하나인 Opera 중국 지사의 C 레벨로 있었습니다.
회사 정보를 CrunchBase에서 찾아보았습니다.
ICO 시작도 전에 벌써 4백만달러, 40억 가량의 펀딩이 벌써 꽂혀 있습니다!!
Series A 급의 투자를 Seed, Angel 단계를 건너뛰고 처음부터 받았다는 건데요.
저는 이것이 너무 미스테리합니다.
아무리 학력으로 차별하는 건 좀 아니지만,
국내 10위권 바깥 대학 출신이 석사 마치고 3년만에 협회와 회사 C 레벨을 단다?
Seed, Angel 단계를 뛰어넘어 Series A 급 펀딩이 꽂히고 시작한다?
링크드인 정보가 거짓이 아니라는 가정 하에 저는 이런 추론에 다다릅니다.
CEO님 집안은 금수저일 것입니다
그래야만 이 모든 의문들이 풀릴 것 같습니다.
금수저여야만 석사를 KTH 보낼 힘이 있을 것이며,
금수저여야만 4년동안 그 물가 비싼 북유럽에서 교환학생 생활을 할 수 있었을 것이고,
금수저여야만 석사를 북유럽의 2개 대학에서 진행할 수 있을 것이며,
금수저여야만 석사 마치고 돌아오자마자 웹 표준 관련 C 레벨에 앉을 수 있을 것이고,
금수저여야만 벤처의 초기 단계 다 건너뛰고 부모님 네트워크로 Series A에서 시작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럼 또, 이런 추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들의 사업 에어드롭을 위해서라도
Pundi X를 절대 망하게 두지 않을 것입니다.
어떻게해서든 POS 시스템을 널리 퍼뜨릴 것이며,
어떻게해서든 이 블록체인 시스템을 개발해 낼 것입니다.
CTO 분을 볼까요?
게임 개발 업체에 있었으며, 무려 5년을 재직했습니다.
그러면서 앱스토어 1위 게임을 몇 개 정도 만들었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Crunchbase에서 찾아보니, 이 게임 회사는 망했다고 합니다.
과연 이것이 악재일까요?
벤처 하는 입장에서는 저는 단연코 No라고 대답합니다.
스타트업에 5년동안 있었다면, 나름 그 회사는 운영을 매우 탄탄하게 했다고 생각하고요,
그래서 스타트업이 어떻게 커야 하는 지는 몸으로 피부로 깨달았을 것입니다.
자신이 블록체인을 개발하지 못한다고는 해도,
어떤 개발자를 물어와야 할 지는 보는 눈이 충분히 있을 것이며,
회사의 자금력을 동원해서 어떻게든 괜찮은 개발자를 앉혀 아이템을 만들어내고야 말 것입니다.
POS 시스템은 영업망이 대단히 중요하고, 초반에 엄청난 고생을 하게 되며,
한 번 영업망이 갖춰지기만 하면, 결제수수료로 앉아서 돈을 먹는 사업입니다.
한 마디로, 버티는 자가 승리하는 게임인데요,
제 눈에 PundiX는 어떻게든 버텨서 살아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아, 그리고, 가맹점에서 물건을 사는 거래 수단은, PXS뿐만 아니라
BTC, ETH 등 기존 통화로도 가능합니다.
거래 인증비용만 PXS로 부담하면 됩니다.
자신의 토큰을 고집하지 않고, 기존 생태계에 얹어가는 방식이라, 이것도 좋은 점입니다.
3. 총평
-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를 때 까지 버틸 역량이 충분해 보인다.
- POS 시스템의 BM상, 한 번 영업망이 깔리면 앉아서 돈버는 시스템이다.
- 자신의 토큰만을 고집하지 않고, 기존 생태계에 자신의 토큰을 얹는 방식이다.
그래서 제 점수는
투자추천등급 (SABCD): A
본인투자의향 O (ICO 투자 예산의 40% 배치)
입니다. (투자 빨리 열려라...)
4. 다음 ICO는...
원래 이번에 포스팅하려고 했던 GoNetwork를 들고 오도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더 좋은 놈이 보이면 또 순서 밀릴 수도 있고요... ㅎㅎ
포스팅 예정 ICO 4개 중 이제 1개 남았네요.
세이브해놓은 분석 후에는 여러분들의 댓글로 추천받으려 합니다.
많이들 추천해주세요 :)
유용하다면 업봇 + 리스팀 부탁드립니다. :)
[Ourselves 캠페인]
셀프보팅을 하지 않고 글을 올리시고
ourselves 테그를 달아 주시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긴 젓가락으로 서로 먹여주는 천국이 이뤄지지 않을까요?
《= 함께 하실 분은 위 문장을 글 하단에 꼭 넣어 주세요~^^